제목
KAIST,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의 유전적 요인 규명
kaist 생명과학과 김은준 교수와 강창원 교수의 공동연구팀이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가 뇌의 신경 시냅스 단백질(git1)이 부족해서 발생한다는 것을 세계 최초로 밝혔다.
전 세계 취학아동의 5% 정도가 겪고 있는 adhd(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는 주의가 산만하고 지나친 행동을 하면서 충동적 성향을 보이는 성장기 아동의 뇌 발달 장애다.
연구팀은 이 증상이 있는 아동들과 없는 아동들의 유전자형을 비교하는 유전역학 연구를 통해 git1 유전자의 염기 한 개가 달라서, 이 단백질이 적게 만들어지는 아동들에서 adhd의 발병 빈도가 현저히 높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생쥐 실험에서 git1의 유전자를 제거해 이 단백질을 합성하지 못하게 하면 adhd 증상을 보인다는 것을 동물행동 분석 및 신경과학 실험을 통해 밝힘으로써 git1과 adhd의 인과관계를 뒷받침했다.
git1 결핍 생쥐들이 사람의 adhd처럼 과잉행동을 보이고, 학습능력이 떨어지며 비정상적인 특이 뇌파를 내는 것을 확인한 것이다. 아울러 이런 생쥐에 adhd 치료약을 투여하면 adhd 증상들이 사라지는 것도 확인됐다.
adhd 아동이 성인이 되면 과잉행동이 없어지는데, git1 결핍 생쥐도 2개월째에는 보이던 과잉행동이 7개월(사람의 20-30세에 해당)이 되면 사라지는 것을 확인했다.
kaist 생명과학과 김은준 교수는 “신경세포를 흥분시키는 기작과 진정시키는 기작이 균형을 이뤄야 하는데, git1이 부족하면 진정 기작이 취약해서 과잉행동을 억제하지 못하는 것으로 추정한다”고 말했다.
또한, 같은 학과의 강창원 교수는 “이번 연구 성과는 adhd 발병기작을 연구하거나 신약을 개발하는 데 git1 결핍 생쥐를 모델생물로 사용할 수 있게 돼 새로운 adhd 치료법 개발의 가능성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 성과는 의약학계 세계 최고 학술지인 네이처 메디신(nature medicine, impact factor 27.136)의 4월 18일자 온라인 판에 게재됐다.
건강을 위한 첫걸음 하이닥 (www.hidoc.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