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유를 먹는 우리나라 신생아의 8%가 환경호르몬(내분비계장애추정물질)의 일종인 dehp(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를 하루 섭취 제한량 이상 먹는 것으로 밝혀졌다. dop라고도 불리는 dehp는 장난감 등 플라스틱 제품을 유연하게 하는 가
소제로 널리 사용되는 물질이다. dehp는 또 세계야생보호기금(wwf)이 환경호르몬 67개 물질 중 하나로 분류했으며 사람에게 암과 생식기능 장애 등을 초래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따르면 서울대 보건대학원 최경호 교수팀이 지난 2012년 4∼8월 서
울 등 전국 4개 도시 5개 대학병원에서 분만한지 1개월 된 산모 62명의 모유에서 dehp, dnbp 등 환경호르몬 물질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드러났다.
이 연구결과(한국에서 모유의 프탈레이트 유도체 농도: 프탈레이트 노출 정도와 모유를 먹은 신생아의
잠재적 위험 평가)는 국제 학술지(science of the total environment) 최근호에 발표됐다.
◆ 모유 먹은 신생아
8%, dehp 섭취 제한량 초과최 교수팀의 연구 결과 신생아가 모유를 통해 매일 섭취하는 dehp의 양은 아이의 체중 ㎏당 0.91∼6.52㎍ 수준이었다. 신생아는 또 모유를 통해 프탈레이트의 일종인 dnbp(디니트로부틸프탈레이트)를 하루에 자
신의 체중 ㎏당 평균 0.38∼1.43㎍씩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최 교수는 이를 근거로 “모유를 먹은 62명의 신생아 중 5명(8%)은 하루 섭취 제한량을 초과하는 dehp를 섭취하는 것으로 밝혀졌다”며 “4명(6%)은 dnbp를 1일 섭취제한량 이상 섭취하는
것으로 추산됐다”고 지적했다.
dehp는 국내에서 약 20년 전에 대형 식품 파동을 일으켰던 물질로도 유명하다. 당시 유아용 분유에 dehp가 들어 있다는 보도가 나오면서 큰 혼란이 초래됐다.
◆ 수유하는 산모, 플라스틱 용기와 1
회용 식품포장 사용 줄여야또 미국에선 dnbp와 디이소부틸프탈레이트(dibp)에 임산부가 과다 노출되면 태어난 아이의 지능지수(iq)가 또래보다 6∼7점 낮아진다는 연구결과가 미국 공공과학도서관의 온라인 학술지인 ‘플로스원’(plos one)
에 지난해 10월 발표된 바 있다.
최 교수는 “이번 연구결과를 아이에게 모유를 먹이지 말아야 한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선 안 된다”며 “산모가 pc 소재 플라스틱 재질의 용기 사용을 가급적 삼가고 랩 등 1회용 식품포장과 전자레인지를 이용한 조리를 줄
이면 모유 내 dehpㆍdnbp 등 프탈레이트 함량을 대폭 낮출 수 있다”고 조언했다.
게다가 프탈레이트는 인체 내에서 생물학적 반감기(10∼12시간)가 짧아 산모가 약간만 주의해도 아이에 미치는 악영향을 크게 줄일 수 있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
출처: 건강을 위한 첫걸음 하이닥
(www.hidoc.co.kr)